-
두 개의 상량기문....
Date : 2014.05.24 By : 水中土어릴적 ''새 집 줄게 헌 집 다오~~ ''라는 노래를 부르며 흙놀이를 하고 놀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새 집 앞에서 헌 집은 언제나 초라하고 작고 볼품 없기만 하죠...불편함도 함께 따라다니죠.. 그러나 헌 집에는 새 집에서는 절대 찾아볼 수 없는 중요한 것이 ... -
전남 영암에 지은 초익공 팔작집 한옥
Date : 2014.04.07 By : 水中土전남 영암에 20평 규모의 한옥을 한채 지었습니다. 살림집이 아니어서 공간 구성의 묘미를 찾기는 어렵습니다. 전라도 특유의 구릉성 산지에다 너른 평야가 펼쳐져있는 지형적 특징은 요즘같은 이른 봄에 강한 바람을 동반하여 사람이 제대로 서있기도 어려웠... -
서울 종로구 익선동에 지은 사모정
Date : 2014.03.26 By : 水中土작년 봄 서울 종로구 익선동에 지은 작은 정자입니다. 규모가 큰집에 비해 작은 집은 그 비례와 디테일이 매우 중요합니다. 압도적인 규모의 집에서는 그 웅장함에 디테일이 잘 보이지 않는 반면 작은 집일수록 세세히 보여지는 곳이 많기 때문이며 비례가 안... -
경남 거창 동호마을 숲
Date : 2014.02.28 By : 水中土거창 동호마을 초입의 소나무 숲과 길입니다. 마을 초입의 이런 숲은 마을을 진호하는 비보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훌륭한 산책로가 되면서 고요한 사유의 기회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소나무 숲에 의해 만들어진 넓고 깊은 음영의 공간은 다시 양명한 세계로 ... -
윤도장. 전통 패철의 제작 장인의 집
Date : 2014.02.20 By : 水中土전북 고창의 한 시골 마을에 우리나라 전통 패철을 만드시는 중요무형문화재 윤도장이 계십니다. 김종대라는 분이신데요. 우리나라에서 패철을 전통방식으로 만드는 유일한 장인이십니다. 풍수학인이라면 누구나 알고있는 이 패철(윤도) 역시 전통이라는 이름... -
醫 와 風水.... 그리고 術과 學 2
Date : 2014.01.06 By : 水中土갑오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회원 여러분과 여기를 방문해주시는 방문객 여러분에게 만복이 깃들기를 기원합니다. 누구나 새해가 되면 여러가지 계획을 하고 마음가짐을 새롭게 하곤 하지요. 그런 의미에서 올해부터는 어떤 마음가짐으로 풍수를 공부하고 또 ... -
醫 와 風水.... 그리고 術과 學
Date : 2013.12.27 By : 水中土"의학(醫學)이란 실제의 학문이다. 비록세상에서 학(學)으로 높이려들지 않고 한낱 술(術)이라 부르는 것이되 세상에서 무어라 부르건 말건 의술은 다른 학문처럼 귀로 들어서만 아는 것이 아니요, 제 눈으로 보고 제 손으로 익혀서만 쓸수 있는 증험(證驗)의... -
기술과 인간.. 그리고 땅과 집
Date : 2013.12.17 By : 水中土이 땅에 지금은 "한옥"이라고 불리는 집이 지어지기 시작한지 반 만년.... 그 장구한 세월속에서 집 짓는 기술, 특히 한옥의 주재료인 목재를 가공하는 기술의 발달을 시간으로 정리하면.... 전체를 24시간이라고 했을 때, 최근 1~2분 남짓의(아니면, 단 몇 십... -
나이 많이 먹은 집의 "얘기"
Date : 2013.12.12 By : 水中土[정태춘] 얘기 담 너머 뒷집에 젊은 총각 구성진 노래를 잘도 하더니 겨울이 다가고 봄바람 부니 새벽밥 해먹고 머슴 가더라 산 너머 구수한 박수무당 굿거리 푸념을 잘도 하더니 제 몸에 병이 나 굿도 못하고 신장대만 붙들고 앓고 있더라 어리야 디야 어리... -
경북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Date : 2013.08.10 By : 한옥짓는 목수건물 앞에 서서 건물을 바라볼 때 건물의 크기를 보기전에 그 건물이 무엇을 위한 건물인지 누구의, 누구에 의한 건물인지를 먼저 물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영주의 부석사를 찾았습니다. 고려말에 중수된 저 무량수전이 현재에도 뽀송뽀송하게 굳건히 서 있을 ... -
<집에 대한 짧은 생각> 땅과 물, 그리고 집.
Date : 2013.08.05 By : 한옥짓는 목수동양에선 세상을 구성하는 물질을 목화토금수 다섯가지의 오행으로 분류하고, 이들의 생극관계로 사물과 현상을 파악합니다. 토극수라 하여 땅(흙)이 물을 극한다는 원칙이 요즘같은 장마 때엔 무색할 지경입니다. 그러나, 기실 물은 땅이 없다면 존재성이 매... -
그 옛날 건축가는 풍수가였나?
Date : 2013.07.18 By : 한옥짓는 목수도면사진 하나를 어찌해서 보게 되었습니다. 양택도인데요...... 오늘은 잠깐 이 이야기를 해 볼까요? <사진출처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건축역사연구실> 옛 날의 건축가는 이런 도면을 그렸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집 짓는 일의 프로세스는 결코 다르지 않습니... -
<책소개> 조선 유교건축의 풍수 미학, 민속원 ,2013년
Date : 2013.07.09 By : 한옥짓는 목수우리 나라의 역사에서 풍수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곳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이를 다루는 주체에도 한계가 없다. 특히 국가 기관 또는 공공 시설과 건물에서는 예외없이 적용되어왔다. 그러나 우리는 이제까지 그저 건축물의 구축방식과... -
<전시 관련> 개항, 전쟁, 그리고 한국 근대건축. 서울역사박물관
Date : 2013.07.07 By : 한옥짓는 목수서울 역사박물관에서 한국근대건축의 시기별 변화와 건축가들의 고민이 담긴 전시를 하고 있다. 개항과 전쟁, 그리고 개발시대 등 격변의 시대를 목도해야했던 당시의 지식인들과 건축가들은 언제나 전통의 문제와 신문물과 충돌을 해야했고 그 안에서 한국만... -
평당 얼마예요???
Date : 2013.06.04 By : 한옥짓는 목수한옥을 짓는 일을 업으로 삼고 살아오면서 한옥과 관련된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그 질문 중 가장 많은 것이 "한옥 지으려면 평당 얼마나 하나요?"라는 것입니다. 근대화 이전까지 철저히 주문생산방식이었던 건축은 일제강점기이후 그 양상이 많이 달라졌습니... -
재료 좋은 것이 기술 좋은 것만 못하고, 기술 좋은 것이 터 좋은 것만 못한 법입니다.
Date : 2013.05.27 By : 한옥짓는 목수한옥.... 이 땅, 한반도에서 한국고유의 형식으로 지어진, 온돌과 마루가 있는 목구조의 집. 한옥의 학문적 정의에 대해서는 아직도 정확하게 정립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한옥에 대해 연구하는 학자마다 내리는 정의도 소소한 차이를 보일 뿐 아니라, 현대...